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다인종 한인 가정 현주소] 혼혈 입양인 초청 모국방문여행기획

〈글 싣는 순서〉 1. ‘하파’라 불러 주세요 2. 2세 타인종 결혼 증가 3. 한인타운 이끌 차세대   워싱턴주 연방하원의원 메릴린 스트릭랜드(민주)와 프로풋볼(NFL) 뉴욕 제츠의 풀타임 오펜시브 어시스턴트 코치 하인스 워드, UC어바인 법학대학원장을 거쳐 현재는 콜로라도 칼리지의 총장인 송 리처드슨 박사와 투와나 ‘티아’ 리고스키(사진)씨 사이엔 공통점이 있다. 바로 한국인의 핏줄을 이어받은 2세들이라는 점이다.     오는 5월 19일을 아시안 혼혈인의 날인 ‘하파 데이(Hapa Day)’로 지정하는 결의안 추진〈본지 4월 18일 자 A-1면〉에 앞장서고 있는 리고스키는 “하파 데이는 지금보다 앞으로 태어날 후손들을 위한 날이다. 다문화 뿌리를 갖고 태어나는 미래의 자녀들은 앞으로 한인사회를 이끌 차세대”라며 “한인사회가 이들을 맞을 준비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리고스키는 한국인 어머니와 흑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한국에서 10대 시절을 보내고 15세 때 아버지가 있는 플로리다로 왔다. 이후 남가주로 이주하면서 한인사회를 만나게 됐고, 지금은 사업을 접고 은퇴한 엔지니어 남편과 함께 하와이에서 산다.   리고스키는 “한인사회 곳곳에서 미국인 가정에 입양됐거나 싱글맘 밑에서 힘들게 성장한 한인 1세대 혼혈인들을 많이 만났다. 그들의 아픔을 위로하고 싶어 혼혈인들의 모임 ‘하파네이션원’을 설립했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2009년 하파네이션원을 통해 모국에서 버림받은 1세대 시니어 혼혈인들을 데리고 한국을 찾아가는 ‘모국방문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입양인 1명만 참여했지만 2019년에는 10여명으로 규모가 커졌다. 회원들의 성화에 팬데믹이 끝난 지난해에는 20여명과 함께 한국을 찾았다.     일부 참가자는 몸이 아파 휠체어에 의지해야 했지만 한국의 구석구석을 끝까지 다니며 모국의 아름다움에 감탄하고 아픔을 힐링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 일부는 한국의 가족을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경찰서를 방문해 유전자 검사 결과를 등록하기도 했다.   리고스키는 “참가자가 늘어나면서 이들의 모국 여행을 위해 많은 하파가 나서서 도움을 줬다. 입양인 출신의 음악인 조이 코씨가 이끄는 케이타운 재즈밴드는 자선음악회를 열고 수익을 모두 기부했다”며 “모두의 후원과 지원이 없었다면 모국방문 여행은 힘들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녀는 지금 또 다른 계획을 조용히 준비하고 있다. 한국에 사는 하파들을 미국으로 초대하는 ‘아버지 나라로의 여행’ 프로그램이다. 목적은 역시 ‘힐링’이다.     리고스키는 “한국에서 ‘아버지의 나라를 가보는 것이 소원’이라는 시니어 하파들을 많이 만났다. 대부분 경제적으로 힘들다. 더 늦기 전에 이들을 미국에 초대해 소원을 풀어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혼혈인들, 특히 입양인들의 아픔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들의 힐링을 위해 한인사회가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문의:(213)399-1173 관련기사 [다인종 한인 가정 현주소] LA에만 한인 '하파' 1만명 거주 [다인종 한인 가정 현주소] 혼혈 한인의 날 ‘하파데이’ 추진 장연화 기자 chang.nicole@koreadaily.com다인종 한인 가정 현주소 인터뷰 모국방문 프로그램 모국방문 여행 한국인 어머니

2023-04-19

[다인종 한인 가정 현주소] LA에만 한인 '하파' 1만명 거주

한인 1세대 혼혈인들이 중심이 되어 오는 5월 19일을 아시안 혼혈인의 날인 ‘하파 데이(Hapa Day)’로 지정하는데 〈본지 4월 18일자 A-1면〉 LA시의회가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LA시에 다인종 인구가 증가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연방센서스국의 2021년 아메리카커뮤니티서베이(ACS) 통계에 따르면 LA시에 사는 아시안 ‘하파’ 인구는 7만7668명으로, 전체 아시안 인구(혼혈 포함 52만7654명)의 15%가량을 차지한다. 이중 한인 인구는 약 1만 명으로 작지 않은 규모다. 아시안 및 한인 하파 인구는 2011년 5만379명에서 2015년 5만5645명, 2019년 7만4842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미전역에서 사는 한인 ‘하파’ 인구는 무려 51만 명으로, 전체 한인 인구 196만2184명의 30%를 차지한다.     캘리포니아주에는 이 중 10만 명가량이 한인 혼혈인이며 LA카운티에 2만6655명, 오렌지카운티에 1만1726명으로 각각 파악되고 있다.   한인 하파뿐만 아니다. 아시안 하파 인구는 미전역에 430만 명으로 무시할 수 없는 규모로 성장했다. 센서스 통계에 따르면 아시안 단일 인구는 1915만7288명. 하지만 혼혈인까지 포함하면 2354만5238명이다. 아시안 인구의 15%가 다인종 배경을 가진 것이다.     이들의 사회 및 경제력은 1세들 못지않게 단단하다. 무엇보다 젊고, 이중언어를 구사해 다문화를 포용하는 미국의 핵심 세대로 올라선 것이다.   센서스 통계에 따르면 전국 한인 혼혈인들의 중간 연령은 36.6세로, 1세의 43세보다 7년이 더 젊다. 가주도 1세의 중간연령은 45.2세였지만 혼혈인은 40.7세로 나타났으며, LA카운티는 43.1세(1세 46.6세), LA시는 44.9세(1세 47.8세)로 파악됐다.   학력 수준도 1세와 비슷했다. 25세 이상 인구 중 고등학교 이상 졸업한 인구는 1세의 경우 93.4%로 높지만, 혼혈인들은 93.7%로 더 높다. 학사 소지자는 36%(1세 36.7%), 석사 이상은 23.2%(1세 24%)로 파악됐다.     또 16세 이상 인구의 65.3%가 취업하거나 비즈니스를 하고 있었으며 중간 가구소득은 8만3354달러로, 1세의 8만2946달러보다 408달러가 더 많다.   무엇보다 2명 중 1명(58.2%)은 집에서 영어와 다른 언어를 구사하고 있었고, 70%는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다중언어에 익숙한 글로벌 세대임을 알렸다.   아시안 혼혈인도 비슷한 추세다. 아시안 중간 연령은 38.4세이지만 혼혈인은 35.4세로 나타났다. 학력은 아시안 1세의 경우 87.8%가 고교를 졸업했지만, 혼혈인은 88.5%로 파악됐다. 또 집에서 영어만 구사하는 혼혈인은 37%였으며, 영어 외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혼혈인은 62.9%에 달했다. 중간 가구소득의 경우 아시안 1세는 10만572달러지만 혼혈인은 9만7626달러로 다소 차이가 벌어진다. 이는 인종별 소득수준 차이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다인종 한인 가정 현주소] 혼혈 한인의 날 ‘하파데이’ 추진 장연화 기자 chang.nicole@koreadaily.com다인종 한인 가정 현주소 한인 hapa 아시안 혼혈인도 아시안 인구 전국 한인

2023-04-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